개발 15

Clean Code - 주석

주석 나쁜 코드에 주석을 달지 마라. 새로 짜라. – 브라이언 W. 커니핸, P.J. 플라우거 주석은 사실상 ‘필요악’이다. 프로그래밍을 통해 좋은 코드를 만들면 주석은 전혀 필요없다. 코드로 의도를 표현하지 못해서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주석을 사용하는 것이다. 주석이란 1. 주석은 나쁜 코드를 보완하지 못한다 : 코드 품질이 나쁘기 때문에 주석을 달아 알아먹기 쉽게 만들기 위해 주석을 단다. 틀렸다. 코드를 정리해서 좋은 코드를 만드는게 정답이다. 자신이 저지른 난장판을 주석으로 설명하려 애쓰는 대신에 그 난장판을 깨끗이 치워라. 2. 코드로 의도를 표현하라 : 개발자는 코드를 “의도를 표현하기 위한 훌륭한 수단” 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코드만으로 의도를 설명하기 어려운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Ex) ..

개발/Clean Code 2018.10.02

Clean Code - 깨끗한 함수

깨끗한 함수란? 함수 :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단위 함수를 잘 만드는 방법 1. 작게 만들어라 : 함수를 만드는 규칙은 첫번째 ‘작게!’, 두번째 ‘더 작게!’ 이다. 중첩 구조가 생길만큼 함수가 커져서는 안된다. 블록 들여쓰기는 1단이나 2단이 적당하다. 2. 한가지만 해라 : “함수는 한 가지를 해야한다. 그 한 가지를 잘해야 한다. 그 한 가지만을 해야한다.” 3. 함수 당 추상화 수준은 하나로 : 한 함수 내에 추상화 수준을 섞으면 코드를 읽는 사람이 헷갈린다. Ex) getHtml() 과 .append(“\n”) 은 다른 추상화 수준이므로 함수 내에 저 두개의 코드가 있으면 이 규칙을 위반한 함수이다. 4. 서술적인 이름을 사용하라 : 서술적인 이름을 사용하면 개발자 머릿속에서 설계가 뚜렷해지므로..

개발/Clean Code 2018.10.02

[JAVA] 문자열에서 가운데 글자만 출력하기. (문자열)

getMiddle메소드는 하나의 단어를 입력 받습니다. 단어를 입력 받아서 가운데 글자를 반환하도록 getMiddle메소드를 만들어 보세요. 단어의 길이가 짝수일경우 가운데 두글자를 반환하면 됩니다. 예를들어 입력받은 단어가 power이라면 w를 반환하면 되고, 입력받은 단어가 test라면 es를 반환하면 됩니다. 풀이법 이 문제에서 사용되는 기법은 크게 세가지가 있습니다. 1. 문자열에서 원하는 위치의 문자를 찾기 위한 charAt() 메소드 2. 문자를 문자열로 형변환 시켜주는 String.valueOf() 메소드 3. 문자열의 길이를 기준으로 문자열이 홀수인지 짝수인지 판단해주는 if 분기문 코드 전문-------------------------------------------------------..

개발/알고리즘 2018.03.05